초보 제테커의 생각 나누기
  • 홈
  • 태그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금융
        • 투자
        • 금융상식
      • 부동산
        • 부동산일반
        • 경매 공부
      • 일상
  • 홈
  • 태그
  • 방명록
부동산/부동산일반

1.3 부동산 대책 정리

1월 3일 루머인줄만 알았던 부동산 대책이 전격 발표 되면서 규제지역의 해제 및 부동산 분양권에 대한 규제도 화끈하게 해제 되었다. 오늘은 1.3 부동산 대책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01 규제지역 해제 기획재정부는 1.2(월) 제62차 부동산가격안정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주택 투기지역 해제 안을 통과 시켰다. 이 해제 안에서는 서울시 11개구(성동·노원·마포·양천·강서·영등포·강동·종로·중·동대문·동작구)에 대해 주택 투기지역 요건 충족 여부를 심의하였고, 해당 지역에 대한 주택 투기지역 지정을 해제하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국토교통부에서도 1.2(월) 23년 제1차 주거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최종적으로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하기로 결정하였다. ..

2023. 1. 6. 00:12
부동산/부동산일반

2023년 부동산 정책 정리 (2023년 경제정책방향)

2022년 12월 21일 정부 관계부처 합동으로 2023년의 경제정책방향에 대해서 자료를 배포하였다. 오늘은 2023년에는 과연 부동산 정책은 어떻게 되는지 이 자료를 바탕으로한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 정리해보겠다. 목차 #01 2023년 경제정책방향 발표 정부에서는 2022년 12월 21일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민생회의 겸 제1차 국민경제자문회의를 개최하였으며 이 곳에서 2023년 경재정책방향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자료를 발표하였다. 해당 보도자료에는 2023년의 경제를 전망하였으며 이에 따른 거시경제, 민생경제, 민간중심 경제활동 제고 및 미래대비를 위한 경제 정책의 기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2023년 경제정책방향 전망은 글로벌 경기가 위축되고 있으며 대외 여건은 악화 되고 있으며, 국내의 실물 경..

2023. 1. 2. 21:47
부동산/부동산일반

셀프 스토리지 (셀프 창고, 의미, 가격)

1인가구가 늘어나는 요즘 1인 거주 공간에서 수납공간이 부족하였던 경험은 한번씩은 해 보았을 것이다. 부동산 임대사업에서 새롭게 각광받고있는 개념이 있다. 바로 셀프 스토리지라는 것이다. 오늘은 셀프 스토리지의 의미와 전망, 가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목차 #01 셀프 스토리지란? 셀프 창고, 개인형 창고라고도 불리는 '셀프 스토리지(Self Storage)' 사업이 최근 급성장을 하고 있다고 한다. 해당 용어는 셀프서비스 스토리지(self-service storage)의 줄임 말이라고 한다. 창고 등 저장 공간을 임대하여 주고 저장 공간에 보관한 물건을 관리하여 주는 서비스 사업을 뜻한다. 해당 서비스는 기존의 창고 임대와 대규모의 물류창고와는 달리 교통이 좋은 도심과 같은 접근성이 좋은 곳에 위..

2022. 12. 26. 22:24
부동산/부동산일반

부동산 양도소득세 정리 (비과세 요건, 일시적 2주택)

우리는 집을 팔때 세금 때문에 골치 아팠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오늘은 부동산 양도소득세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1가구 1주택일 경우 비과세 요건은 어떻게 되는지, 일시적 2주택의 경우 어떻게 비과세를 받을 수 있을지 확실하게 정리하여 보자. 또한 맨 아래에는 국세청에서 가장 양도소득세에 관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을 모아 담은 사례 TOP10이 있으니 해당 자료도 다운받아 참고하여 보자. 목차 #01 양도소득세란 양도소득세란 개인이 부동산이나 주식, 채권 등을 양도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익에 대하여 발생하는 이익에 부과하는 세금을 말한다. 즉, 부동산 양도소득세라 함은 부동산을 통하여 이익을 얻었을 때 발생하는 세금이다. 따라서 부동산을 통하여 이득을 얻은 돈이 없다면 과세되지 않는 세금이..

2022. 12. 13. 22:39
부동산/경매 공부

경매 권리분석 하는 법 (말소기준권리, 선순위 권리, 인수되는 권리)

목차 #01 경매의 기본 지난 번에는 경매의 의의와 절차에 대해 알아 보았다. 경매 시작하기 (의의, 종류, 절차, 정보 찾는 법) #01 부동산 경매의 의의 부동산 경매란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채권자가 채권을 지키기 위해서 채무자의 부동산 혹은 담보물을 제공한 사람이 있다면 그 담보물을 제공한 사람의 justin-finance.com 하지만 사람들은 경매라고 하면 좋지 않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어려워서 우리랑은 상관 없는 분야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경매를 어렵게 생각하는 이유는 용어가 일단 우리가 평소에 쓰는 단어와 많이 다르다는 것이다. 어찌보면 굉장히 간단한 원리 임에도 알기 어려운 단어들이 난무하는 바람에 사람들은 겁을 먹고 알려고 시작하지를 않는다..

2022. 11. 27. 16:31
부동산/경매 공부

경매 시작하기 (의의, 종류, 절차, 정보 찾는 법)

#01 부동산 경매의 의의 부동산 경매란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채권자가 채권을 지키기 위해서 채무자의 부동산 혹은 담보물을 제공한 사람이 있다면 그 담보물을 제공한 사람의 부동산을 압류하여 매각한 후 그 금액으로 채권의 만족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강제집행의 일종이다. 즉 합법적인 법 집행 절차를 통해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을 통해 권리를 보장 받는 제도를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경매를 하는 것에 대해서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가난한 사람을 내보내는 피도 눈물도 없는 스크루지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매의 경우는 돈을 빌리고 돈을 갚겠다는 약속을 하였음에도 그것을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진행되는 절차이다. 즉 약속을 지키지 않은 사..

2022. 11. 26. 23:23
  • «
  • 1
  • 2
  • »
반응형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금융
      • 투자
      • 금융상식
    • 부동산
      • 부동산일반
      • 경매 공부
    • 일상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초보 제테커의 생각 나누기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